Surprise Me!

[더뉴스] 삶의 만족도 '꼴찌' 수준...'풍요의 역설?' / YTN

2023-02-21 1 Dailymotion

여러분은 지금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시나요? <br /> <br />우리나라 사람들, 삶의 만족도가 OECD국가 가운데 꼴찌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10점 만점에 5.9점에 그쳤는데요. <br /> <br />OECD 38개 나라 가운데 36위였는데, 우리나라보다 점수가 낮은 나라는 콜롬비아와 튀르키예 두 곳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것들이 영향을 미쳤을까요? <br /> <br />한국 사람들 일하는 시간이 길다 보니, 일과 삶의 균형 이른바 '워라밸'이 좋지 않죠. <br /> <br />국내 임금 근로자의 지난 2021년 기준 한 달 근로시간은 164시간이 조금 넘었는데요. <br /> <br />소폭이지만 2020년 전보다 0.6시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적 추세와는 반대죠. <br /> <br />오래 일한 이유일까요? <br /> <br />2021년 1인당 국민총소득은 3,949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79만 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득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지긴 했는데요. <br /> <br />소득은 올랐지만, 가계 빚 부담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가계부채비율은 2008년부터 13년째 꾸준히 상승해 2021년 206.5%였는데요. <br /> <br />버는 돈에서 세금과 연금보험료 등을 빼고 실제 내 통장에 남은 돈의 두 배 이상이 빚이란 겁니다. <br /> <br />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높은 편인데요. <br /> <br />일본 115.4%, 프랑스 124.3%, 영국 148.5% 정도인 걸 보니 가계 빚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죠. <br /> <br />먹고 사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잘 놀고 잘 쉬는 것도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죠. <br /> <br />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우리 삶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인데, 코로나 발생 전보다 낮아져 27%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지표를 하나 더 보죠. <br /> <br />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데, 2021년 기준 26명으로 전년보다 0.3명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70대부터는 인구 10만 명당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가 40명을 넘었고, 80세 이상에서는 61.3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노인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고립도는 아프거나 힘들 때 도움받을 수 있는 곳이 없는 사람의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인데요. <br /> <br />사회적 고립도가 코로나 전보다 6.4%p 늘어 2021년 기준 34.1%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60세 이상 인구의 사회적 고립도가 41.6%로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상황을 두고 풍요의 역설이라는 표현이 나오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성장과 소득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여가와 공동체 같은 가치를 미루다 보니 서글픈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, 개인에게만 맡기기보다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22114175650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